가문을 흥왕하게 하는 사람 (느헤미야 2:9-20)
잠11:11절에 보면 “성읍은 정직한 자의 축복으로 인하여 진흥하고 악한자의 입으로 말미암아 무너지느니라”고 말씀합니다.
다시 말해서 성읍은 정직한 자의 축복으로 인하여 발전하고, 성숙하고, 열매를 남기게 되지만, 악한자의 입을 인하여 무너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가정을 무너뜨리고, 부정적 영향을 확산시키는 사람이 아니라 꿈과 믿음을 주고 간증이 충만한 믿음의 사람들로 쓰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자녀들에게 그 신앙을 물려주어 신앙의 명문가를 이루도록 해야 합니다.
오늘 본문의 배경은 하나님의 사람 느헤미야는 당대 최고권력자 아닥사스다왕의 최측근으로서 아무 걱정없이 호의호식할 수 있었으나 하나님의 역사를 위해서 자원하여 고생하는 장면입니다.
그렇습니다.
사실 느헤미야는 예수그리스도의 예표로써 구원의 성벽을 쌓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생명탑을 쌓은 믿음의 사람입니다.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 온 수많은 이스라엘 백성들이예루살렘이 초토화된 것을 들었지만, 하나님께서는 한 사람 느헤미야를 들어 사용하셨습니다.
그렇다면 하나님께 가문을 흥왕하게 하는 사람, 축복의 도구로 쓰임 받는 사람은 어떤 사람입니까?
1. 하나님의 감동을 받은 사람이 가문을 흥왕하게 합니다.
12절에 보면 “내 하나님께서 예루살렘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내 마음에 주신 것을 내가 아무에게도 말하지 아니하고”라고 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뜻과 계획을 느헤미야의 마음에 담아 주셨다는 것입니다.
마음은 그릇입니다.
마음이 깊으면 깊은 삶을 살고, 마음에 감동이 넘치면 감동적인 삶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느헤미야는 하나님과 코드가 맞는 사람이었습니다.
하나님이 좋아하시는 것을 좋아하고, 하나님이 싫어하시는 것을 싫어하고, 하나님의 관심이 머무르는 곳에 느헤미야의 관심도 머물렀습니다.
그렇습니다.
하나님 나라를 위해서 쓰임을 받으려면 하나님과 코드가 맞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코드는 하나님의 말씀 전체에서 나타납니다.
느헤미야는 기도하는 가운데 성령의 감동으로 하나님의 뜻을 알고, 하나님의 기대를 깨닫고, 하나님의 소원대로 살기를 작정했습니다.
그렇다면 누가 가정을 흥왕하게 하는 사람으로 쓰임 받을 수 있습니까?
성령의 감동으로 하나님의 뜻을 알고, 하나님의 기대를 알고, 하나님의 소원대로 사는 믿음의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마음속에 하나님의 일을 위해서 좋은 아이디어, 계획, 꿈들이 부어지도록 마음의 문을 활짝 열어놓읍시다.
믿음의 눈을 뜨고 믿음의 귀를 열어 주의 음성을 들읍시다.
하나님께서는 오늘도 동일하게 성령님의 감동을 받은 사람, 하나님의 감동을 마음에 담은 자를 통하여 일하십니다.
2. 가족의 마음을 움직이는 비전의 사람이 가문을 흥왕하게 합니다.
17-18절을 읽겠습니다.
“후에 그들에게 이르기를 우리의 당한 곤경은 너희도 보고 있는 바라 예루살렘이 황폐하고 성문이 불탔으니 자, 예루살렘 성을 건축하여 다시 수치를 당하지 말자하고 또 그들에게 하나님의 선한 손이 나를 도우신 일과 왕이 내게 이른 말씀을 전하였더니 그들의 말이 일어나 건축하자 하고 모두 힘을 내어 이 선한 일을 하려 하매”
하나님의 백성답게 신앙의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서 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다시 말해서 비기독교적인 가치관이 물밀 듯이 밀려올 때 교회 안에 있는 성도들은 영적으로 보호를 받고 영적인 진리를 순수하게 지켜낼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원리는 눈에 보이는 건물 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마음의 성전에도 동일합니다.
그렇습니다.
선한 일, 주님이 기뻐하는 일을 하기 원하는 사람은 비전의 사람입니다.
꿈을 가지고 가족의 마음을 움직이는 사람입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이 주신 비전은 어떤 능력을 가진 자입니까?
“가족이 다 자는 밤에 깨어있도록 만드는 자”입니다.
그렇습니다.
물리적인 밤뿐 아니라 윤리적인 밤, 영혼이 마비되어있는 때에도 하나님이 쓰시는 사람은 마음속에 주님이 주신 등불을 가지고 깨어있습니다.
하나님이 주신 비전이 있는 사람은 가족들이 모두가 영적으로 잠들고 둔감해졌을 때에라도 밤을 깨우는 능력이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주신 비전을 가진 자는 역경가운데서도 일어서게 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14절에 보면, 예루살렘 성벽은 다 무너졌고, 성문은 완전히 불에 타서 무너졌습니다.
그래서 누구나 낙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느헤미야의 마음은 묶이지 않았기 때문에 낙심하지 않았습니다.
그렇습니다.
잿더미 속에서도 찬송할 수 있는 능력이 하나님의 비전을 가진 사람들의 삶에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비전의 사람은 비전의 탈취자 즉, 비전을 빼앗아 가기 위해서 복병처럼 숨어있는 대적들도 만납니다.
19절을 읽겠습니다.
“호론 사람 산발랏과 종이었던 암몬 사람 도비야와 아라비아 사람 게셈이 이 말을 듣고 우리를 업신여기고 우리를 비웃어 이르되 너희의 하는 일이 무엇이냐 너희가 왕을 배반하고 하느냐 하기로”
이 사람들이 힘을 합쳐 느헤미야와 같이 협력하는 꿈 있는 사람들을 도전합니다.
다시금 성벽을 쌓겠다는 건축자들의 말을 듣고 업신여기고 교묘하게 말을 꾸며서 반역자로 몰았습니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위해서 거룩한 마음을 가지고 살겠다”는 작정은 순풍에 돛단 듯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주를 위해 산다고 해서 모든 일이 다 형통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주를 위해 살기 때문에 오는 어려움도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한 것입니다.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에 오게 될 때에 대적들은 그를 비웃고 위협했습니다.
느헤미야에게 위협하는 편지를 보냈고, 거짓 예언으로 일을 그만두도록 미혹했습니다.
얼마나 교묘하게 느헤미야와 여러 돕는 형제들을 괴롭혔는지 모릅니다.
그렇습니다.
축복스런 일은 그냥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주님을 향해 꿈이 있는 사람을 통해서 성취됩니다.
현실적으로 그리스도인들 가운데는 항상 끌려 다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수를 믿는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이미 받은 자답게 리더로서 섬김으로 이끄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주님앞에 주도적으로 섬기며, 하나님앞에 믿음으로 나아가는 사람들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비전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그러므로 부정적인 사람들이나 신앙의 가정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목소리에 끌리거나 두려움에 떨지맙시다.
우리 함께 하나님의 은혜에 붙잡혀 믿지 않는 가족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쓰임을 받읍시다.
3. 하나님이 형통케 하신다는 확신을 가진 사람이 가문을 흥왕하게 합니다.
20절에 보면 “내가 그들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하늘의 하나님이 우리로 형통하게 하시리니”라고 했습니다.
여기 “하늘의 하나님이 형통하게 하신다”는 말은 “하나님이 이루게 하실 것이고 번영하게 하실 것이다”라는 확신을 말합니다.
그렇습니다.
어떤 상황 속에서도 하늘의 하나님이 우리로 형통하게 하시리라는 고백을 할 수 있는 사람을 하나님은 반드시 사용해 주십니다.
모든 만물을 다스리시는 하늘의 하나님이 형통하게 하면 그 형통을 빼앗아 갈 자도 없고, 형통의 문을 닫아 버리면 그 문을 열 사람도 없습니다.
계3:8절에 보면 “볼지어다 내가 네 앞에 열린 문을 두었으되 능히 닫을 사람이 없으리라”고 하셨습니다.
그렇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열린 문을 두셨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기회의 문을 주셨기 때문에 닫을 사람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원이 부족하고 믿음이 부족하다고, 과거에 못 배웠고 가진 것이 없다고 탄식하지 맙시다.
영적인 세계는 광대무변합니다.
이미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혜와 하늘의 신령한 복을 체험한 자들입니다.
이미 형통한 자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다른 사람을 형통하게 하기를 믿음으로 작정하고 나아갑시다.
하나님의 꿈을 가진 사람을 통해서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가문에 복주시는 것이 하나님의 법칙입니다.
사랑하는 믿음의 가족 여러분!
여러분의 삶을 움직이는 힘이 무엇입니까?
무엇이 여러분의 가문을 움직이기를 원합니까?
하나님의 비전이 우리의 삶과 가문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어야 합니다.
기도를 통해 우리의 마음을 주님의 코드에 맞추고, 우리의 마음에 하나님의 감동을 받아 하나님의 뜻과 소원대로 살기로 작정합시다.
가족의 마음을 움직이는 비전의 사람들이 되어 밤을 깨우고 역경가운데서도 일어서서 섬김으로 이끄는 리더들이 됩시다.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열린 문을 주신 하나님이 우리로 형통하게 하신다는 확신을 가지고 우리의 가문을 흥왕하게 하는 믿음의 역사를 이루어 나갑시다.
'설교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교회의 꿈을 갖자 (계시록 1:9-20) (1) | 2023.08.24 |
---|---|
지금도 하나님의 구원계보는 진행 중이다 (룻기 4:13-21) (0) | 2023.08.23 |
가족은 우리의 전부입니다 (마가복음 3:31-35) (1) | 2023.08.21 |
우리 아이를 균형있게 키웁시다 (누가복음 2:40-52) (0) | 2023.08.20 |
나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 (로마서 8:31-32) (0) | 202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