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리 381

자유주의, 복음주의(보수주의), 개혁주의(칼빈주의), 알미니안주의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복음주의(보수주의), 개혁주의(칼빈주의), 알미니안주의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복음주의(보수주의), 개혁주의(칼빈주의), 알미니안주의의 차이 1. 자유주의 19세기 및 20세기 초엽 개신교에서 유행하던 신학적 경향으로, 상황에 따라 전통적 교리를 포기하고 세상의 도덕적 가치와 견해를 수용하는 인복주의적 특징을 가진다 2. 복음주의 (보수주의) 신학적 자유주의에 맞선 입장으로 영적인 부흥을 존중하고 갈구하는 교파를 초월한 운동이며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고 구원을 강조하며 선교에 힘쓰는 특징이 있다 3. 개혁주의 (칼빈주의) 개혁주의는 종교개혁으로 말미암은 신학적 전총으로 오직 영감을 최종 권위로 인정하고 하나님 중심적인 특징을 가진다 "오직 성경", "오직 그리스도", "오직 은혜", "오..

기독교교리 2023.10.24

악인과 의인의 최후의 상태

악인과 의인의 최후의 상태 (51) 최후의 상태 1) 악인의 최후상태 가. 악인이 처할 장소 지옥이다. 어떤 사람들은 지옥이 주관적 상태를 의미한다고 하나, 지옥은 장소다 (마 13:42 계 20:14~15 벧전 3:19 눅 8:31 벧후 2:4) 나. 영벌의 상태 고통, 고민, 울며 이를 간다 (마 8:12, 13:50 막 9:18, 48 눅 16:23, 28 계 14:10, 21:8) 다. 형벌의 기간 영원하다 (막 9:48) 영원성을 부정하는 사람도 있다 2) 의인의 최후 상태 가. 새 창조 현 세계는 떠나가고 신천신지가 설립된다 (마 19:28 행 2:21 히 12:27 벧후 3:13 계 21:1) 전적인 새 창조라기보다는 현우주의 갱신이다 (시 102:26~27 히 12:26~27) 나. 의인의..

기독교교리 2023.10.23

최후의 심판이란 무엇인가? (최후의 심판의 뜻과 의미)

최후의 심판이란 무엇인가? (최후의 심판의 뜻과 의미) (50) 최후의 심판 1) 성경적 근거 구약성경 : 시 96:13 전 3:17, 12:14 신약성경 : 마 11:22, 16:27, 25:31~46 행 17:31 롬 2:5~10, 16, 14:12 고전 4:5 고후 5:10 딤후 4:1 히 9:27 벧전 4:5 계 20:11~14 2) 심판의 주체 심판주 : 그리스도 (마 25:31~32 요 5:27 행 10:42, 17:31 빌 2:10 딤후 4:1) 천사들의 보조 : 마 13:41~42, 24:31, 25:31 성도들의 참여 : 시 149:5~9 고전 6:1 계 20:4 3) 심판의 대상 첫째, 인류 개개인 (전 12:14 시 50:4~6 마 12:36~37, 25:32 롬 14:10 고후 5:..

기독교교리 2023.10.22

부활이란 무엇인가? (부활의 뜻과 의미)

부활이란 무엇인가? (부활의 뜻과 의미) (49) 부활 1) 부활에 관한 성경적 근거 고전 15장 살전 4:13`17 고후 5:1~10 계 20:13 2) 부활의 성질 첫째, 육체적 부활 (롬 8:11 고전 6:13~20, 15장) 둘째, 의인과 악인의 부활 (요 5:28~29 행 24:15 단 12:2) 안식교인들과 여호와의 증인들은 악인의 부활을 부정하고, 악인은 전적으로 멸절한다고 잘못 주장한다 셋째, 의인의 부활은 구원과 영화이고, 악인의 부활은 죽음의 극형이다 3) 부활의 시기 가. 부활의 시기에 관한 성경기록 첫째, 그리스도의 재림 및 세상의 종말과 동시적으로 일어난다 둘째, 심판 직전에 일어난다 셋째, 그리스도의 재림과 직접 연결된다 (고전 15:23 빌 3:20~21 살전 4:16) 넷째,..

기독교교리 2023.10.21

천년왕국이란 무엇인가? (천년왕국의 뜻과 의미)

천년왕국이란 무엇인가? (천년왕국의 뜻과 의미) (48) 천년왕국 1) 천년왕국에 관한 여러 가지 입장 천년왕국이 있을 것이라는 입장 (전천년설, 후천년설)과 천년왕국은 없다는 입장(무천년설)이 있다 (계 20:1~6) 전천년설 : 그리스도의 재림이 천년왕국 전에 있다는 설 후천년설 : 그리스도의 재림이 천년왕국 후에 있다는 설 무천년설 : 천년왕국은 없다는 설.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들의 일반적 부활, 최후의 심판은 같은 때에 일어나기 때문에, 현재의 하나님의 영적 왕국은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나라로 직접 넘어간다는 입장이다 2) 전천년설 교회시대-그리스도의 공중재림-죽은 성도들은 부활하여, 살아 있는 성도들과 공중으로 휴거함- 이 모든 성도들은 어린양과의 7년 혼인잔치를 하며 그 동안에 지상에는..

기독교교리 2023.10.20

재림이란 무엇인가? (재림의 뜻과 의미)

재림이란 무엇인가? (재림의 뜻과 의미) 2) 재림 가. 재림의 시기 재림 전에는 반드시 징조들이 있다 (마 24:14 살 2:2~3 벧후 3:9) 그러나, 재림은 가까왔다 (마 16:28, 24:34 히 10:25 약 5:9 벧전 4:5 요일 2:18) 오순절 사건 이후로 마지막 때는 이미 시작외었으므로, 재림은 임박했다 (살전 5:1~3) 재림의 정확한 때는 하나님밖에 모르시고, 예수와 천사들도 모른다 (마 24"36) 나. 재림의 형식 인격적 재림: 재림은 기독교의 원리가 사회를 지배함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인격적으로 임하신다 (행 1:11, 3:20,~21 마 24:44 고전 15:23 빌 3:20 골 3:4 살전 2:19, 3:13, 4:15~17 딤후 4:8 딛 2:13 히 9:28) 형태적 ..

기독교교리 2023.10.19

그리스도의 재림 전에 있을 큰 사건

그리스도의 재림 전에 있을 큰 사건 (47) 그리스도의 재림 1) 재림 전의 큰 사건 가. 이방인들을 부르심 그리스도가 재림하시기 전에 먼저 복음이 모든 민족들에게 전파된다 (마 24:14 막 13:10 롬 11:25) 나. 이스라엘의 회심 이스라엘 민족이 끝날에는 주께로 돌아올 것이다 (롬 11:11~32) 다. 적 그리스도의 출현 적 그리스도가 나타나서 그리스도를 대적하다가 마침내 죽음을 당할 것이다 (살후 2:3~4) 라. 큰 배도와 재난 환난이 극심하므로 배도하는 일들이 있고, 큰 재난이 닥칠것이다 (마 24:12 딤후 1:1~7, 4:3~4 살후 2:3) 마. 표적과 기사 다음과 같은 표적과 기사들이 재림의 징조로서 나타날 것이다 (마 24:29~30 막 13:24~25 눅 21:25~26) 첫..

기독교교리 2023.10.18

종말이란 무엇인가? (종말의 뜻과 의미)

종말이란 무엇인가? (종말의 뜻과 의미) (46) 개인적 종말 1) 육체의 죽음 가. 육체적 죽음의 성질 육체의 죽음이란 '신체와 영혼의 분리로 말미암아 육체적 생명의 종결'이다 (약 2:26 전 12:7 마 10:28 눅 12:4) 그것은 결코 존재 자체의 멸절이 아니다 나. 죄와 죽음과의 관계 성경에는 '죽음은 죄의 결과요, 죄에 대한 형벌'이라고 언급되어 있다 (창 2:17, 3:19 롬 5:12, 6:23 고전 15:21 약 1:15) 다. 신자에게 있어서 죽음의 의미 신자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사망을 이겼다 (딤후 1:10 롬 5:17, 8:1~2 고전 15:22, 55~57) 그러므로 신자에게 있어서 죽음으리나 더 이상 죄에 대한 형벌이 아니라, 영광스러운 구원의 완성을 위한 성화의 마지막 ..

기독교교리 2023.10.16

성찬이란 무엇인가? (성찬의 뜻과 의미)

성찬이란 무엇인가? (성찬의 뜻과 의미) (45) 성찬 1) 성찬의 성경적 근거 마 26:26~29 고전 11:23~25 2) 성찬과 주의 임재 육체적 임재 : 그리스도가 육체적으로 임재하여 떡은 그리스도의 살이 되고, 포도주는 그리스도의 피가 된다(카톨릭 교리) 장소적 임재 : 그리스도가 떡과 포도주 속에 장소적으로 공재(共在)한다 영적 임재 : 성령이 임재하여 그리스도의 살과 피의 효과를 적용시킨다 (칼빈의 교리) 기념 : 성찬의 떡과 포도주는 다만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기념하는 것이다 (쯔빙글리의 교리) 3) 성찬의 참여자 성찬에 참여하는 자는 자신을 살핀 후에 참여하도록 권고받고 있으므로 (고전 11:28~32), 원칙적으로는 분별능력이 결여되어 있는 어린아이들은 성찬에 참여하는 것이 합당치 않다

기독교교리 2023.10.14

세례란 무엇인가? (세례의 뜻과 의미)

세례란 무엇인가? (세례의 뜻과 의미) (44) 세례 1) 세례의 양식 침례 : 롬 6:3~4에 의하여, 침례는 예수 그리스도와 합하여 죽음과 부활함을 상징한다 헬라어 "밥티조'의 일차적인 의미는 '담근다'는 뜻이다 성경에서 '물에 들어가고 물에서 나온다'는 표현은 침례를 나타낸다 (마 3:16 행 8:36) 세례 : 성령세례를 받은 자만이 물세례를 받을 참된 자격이 있는데 (행 10:47, 11:16), 성령세례는 침수(浸水)의 형식이 아니라, '부어 주시는' 형식이었다 (행 2:1~4, 10:45) 2) 세례의 대상 첫째, 성인에게만 해당된다 세례는 구원받은 자에게 베푸는 것이므로, 복음의 내용을 이해할 만한 성인에게만 베푸는 것이 원칙적으로 타당하다 둘째, 유아에게도 해당된다 신자 가정의 자녀는 구..

기독교교리 2023.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