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리 381

예수님의 지상 사역 준비와 공적 사역

예수님의 지상 사역 준비와 공적 사역 (23) 예수님의 지상생활 1) 사역의 준비기간 탄생 :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심 (마 1:18~25 눅 2:1~7) 시므온, 안나가 찬양함 (눅 2:25~38) 동방박사의 경배를 받으심 (마 2:1~12) 유년기 : 애굽으로 피신함 (마 2:13~15) 성장 : 키와 지혜가 자람 (눅 2:40, 52) 성전에서 율법 교사들과 대화하심 (눅 2:41~51) 세례 : 세례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심 (눅 3:21 마 3:13~17) 시험 : 마귀에게 시험을 받으심 (마 4:4~11 눅 4:1~13) 2) 공적 사역 '예수께서 가르치심을 시작할 때에 삼십 세쯤 되시니라' (눅 3:23) 예수의 공생애의 약 3분의 1은 말씀을 가르치시고, 약 3분의 2는 병 고치고 귀신을 쫓아내..

기독교교리 2023.09.18

성육신이란 무엇인가? (성육신의 뜻과 의미)

성육신이란 무엇인가? (성육신의 뜻과 의미) (22) 성육신(成肉身) 1) 의미 : 하나님이 사람이 되신 것을 뜻한다 2) 역사적 사실성 : 동정녀 마리에게서 태어나셨다 (사 7:14 마 1:16) 3) 성경의 증명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요 1:14) '육신으로 나타나신 바 되시고' (딤전 3:16) '사람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며' (빌 2:7~8) 4) 목적 첫째, 속죄의 희생제물이 되어 인간을 구원키 위해 (마 20:28 히 10:1~10 딤전 1:15) 둘째, 마귀의 일을 멸하기 위해 (요일 3:8) 세째, 하나님을 인간에게 나타내기 위해 (요 1:18) 네째, 다윗과의 언약을 성취하기 위해 (눅 1:31~33)

기독교교리 2023.09.17

그리스도의 선재에 대한 증거

그리스도의 선재에 대한 증거 (21) 그리스도의 선재(先在) 1) 예수 자신의 증거 '아브라함이 나기 전부터 내가 있느니라' (요 8:58) 2) 사도들의 증거 요한 (요 1:1~14) 바울 (골 1:16) 3) 성경의 증거 여호와의 사자 (출 3:2, 4)는 제 2위의 하나님이신 예수 그리스도로 인정되며 구약성경의 '주' 또는 '여호와'는 신약 성경에서 예수에게 적용되었다 (마 22:43~45 행 2:34~36)

기독교교리 2023.09.15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 (20) 그리스도의 본성 1) 인성 가. 인성에 대한 증거 인간의 몸을 가지심 : 여자에게서 나시고 (눅 2:5~7; 갈 4:4) 성장하셨으며 (눅 2:40, 52) 인간이 보고 만졌으며 (요일 1:1; 마 26:12) 영혼과 육체를 가지셨다 (요 19:30~34) 인간적인 제한과 고통을 당하심: 주리심 (마 4:2, 21:18) 목마르심 (요 19:28) 주무심 (마 8:24) 피곤하심 (요 4:6) 우심 (요 11:35) 고민하심 (마 26:38) 노하시고 분히 여기심 (막 3:3; 10:14: 요 11:33) 고난과 시험을 받으심 (히 2:10, 18, 4:15, 5:7~8) 인간의 칭호를 가지심 : 나사렛 예수 (행 2:22 마 1:21) 다윗의 자손 (마 10:47)..

기독교교리 2023.09.14

예수 그리스도의 명칭의 종류와 의미

예수 그리스도의 명칭의 종류와 의미 4. 기독론 행위언약을 어긴 아담의 자손인 모든 인간들을 구원하기 위해 속죄사역을 담당하시고 은혜언약의 중보자가 되신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교리이다 (19) 그리스도의 명칭 예수 : '구원하다'라는 뜻 (마 1:21)으로 구약성경의 '여호수아'와 같다 (수 1:1, 슥 3:1) 그리스도 : '기름부음받은 자'라는 뜻으로 구약성경의 '메시야'와 같다 구약성경에서 기름부음을 받은 자는 왕(삼상 10:1), 제사장 (출 29:7), 선지자 (왕상 19:16)였다 여기서 '기름'은 '성령'을 상징하며 (사 61:1, 슥 4:1~6) '기름부음'은 '성령의 임하심'을 상징한다 (삼상 10:6, 10, 16:13~14) 인자(人子) : 예수가 자신을 지칭하는 가장 통상적인 호칭으..

기독교교리 2023.09.13

언약이란 무엇인가? (언약의 뜻과 의미)

언약이란 무엇인가? (언약의 뜻과 의미) (18) 은혜 언약 안에 있는 인간 하나님은 속죄 언약을 기초로 해서 은혜언약 (곧, 인간과의 친교언약)을 설정하시고 죄인에게 영적 축복을 주신다 (은혜언약은 친교언약이라고도 할 수 있다) 1) 속죄언약의 의미 성부와 성자 (신자들의 대표)는 속죄의 언약을 맺으셨다 (행위언약은 하나님과 아담 사이에 이루어짐) 즉 그리스도는 구원받을 죄인들을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속죄사역을 담당하심으로써 생명을 주는 마지막 아담이 되셨다 (롬 3:26 히 13:12 고전 15:45) 2) 속죄언약의 성취과정 성부는 성자를 세상에 보내시고 (요 3:16 히 10:9) 대속적인 고난과 죽음을 당하게 하셨으며 (롬 3:26 갈 3:13 벧전 2:24 고후 8:9) 부활, 승천케 하사 우편..

기독교교리 2023.09.12

율법이란 무엇인가?(율법의 뜻과 의미)

율법이란 무엇인가?(율법의 뜻과 의미) (17) 율법에 대하여 1) 율법의 기원 율법은 모세로 말미암아 주신것이다 (요 1:17; 출 20장 이하) 또한 은혜와 진리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온 것이다 (요 1:17) 2) 율법의 기능 율법으로 죄를 깨닫는다 (롬 3:20) 따라서 율법이 없으면 범죄도 없다 즉 범죄의 위법성이 없어진다 (롬 4:15) 3) 율법의 시효 그리스도에게까지다 원문을 직역하면 '율법은 그리스도에게까지 몽학선생이었다' (갈 3:24) 따라서 원문에는 '인도한다'라는 말이 없다 그리스도 이후에는 성령이 죄와, 의와, 심판에 대하여 세상을 책망하신다 (요 16:8) 4) 율법과 은혜 (성령) 율법의 정죄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속의 은혜와 대조된다 (롬 3:19~26) 예수 ..

기독교교리 2023.09.09

죄란 무엇인가? (죄의 뜻과 의미)

죄란 무엇인가? (죄의 뜻과 의미) 죄란 무엇인가? (죄의 기원, 죄의 의미, 원죄와 본죄, 죄의 치유) (16) 죄의 상태에 있는 인간 1) 인간의 범죄와 죄의 기원 시험과 유혹은 외부로부터 주어졌다 범죄의 상황적 요소들은 사단, 뱀, 하와다 (창 3:1~6) 아담은 자유의지적 결정에 의해서 하나님과의 행위언약을 버리고 사단의 시험을 받아들였다 (창 3:6) 인간의 범죄와 죄의기원(사단, 겔 28:15)은 하나님의 허용적 작정에 의한 것이었으나 인간은 자신의 범죄행위에 대하여 전적으로 책임을 진다 2) 죄의 의미 죄는 모든 인간의 자유선택의 결과다 ('본죄','자범죄'라고도 한다) 죄는 원래 하나님께 부여받은 원래적 의 (죄를 전혀 짓지 않은 상태)를 결여한 것이다 ('원죄'라고도 한다) 인간에게는 부..

기독교교리 2023.09.08

인간의 범죄와 타락과 형벌

인간의 범죄와 타락과 형벌 (15) 인간의 범죄와 타락 1) 인간의 범죄와 타락 아담은 행위언약을 어김으로써 범죄하고 타락하였다 (창 3:6) 즉 사단은 뱀을 이용했고, 뱀은 직접적인 언약 당사자가 아닌 하와를 이용했으며, 하와는 아담을 타락시켰다 하와는 아담에게 가장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매개자였다 창3:6 마 4:4~11 요일 2:16 먹음직함 떡을 만들어 먹어라 육신의 정욕 보암직함 성전 꼭대기에서 뛰어내리라 안목의 정욕 탐스러움 내게 절하라 이생의 자랑 2) 행위언약의 파기에 대한 형벌 뱀에 대하여 : 저주를 받아 배로 다니고 흙을 먹는다 (창 3:14) 사단에 대하여 :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며, 여자의 후손에 의해서 머리가 상하게 된다 (창 3:15) 하와에게 대하여 : 해산의 고통을 당..

기독교교리 2023.09.07

행위언약이란 무엇인가? (행위언약의 뜻과 의미)

행위언약이란 무엇인가? (행위언약의 뜻과 의미) 행위언약이란 무엇인가(행위언약의 근거와 내용) (14) 행위언약 속에 있는 인간 1) 행위 언약에 관한 성경적 근거 아담은 인류의 행위언약적 대표다 (롬 5:12~21) 그리고 아담과 더불어 모든 인간도 행위언약을 어겼다 (호 6:7) 2) 행위언약의 내용 언약의 당사자 : 하나님과 아담 언약의 조건 : 인간의 순종 약속 : 생명 언약 위반에 대한 형벌 : 죽음 언약의 상징 :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

기독교교리 2023.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