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살리는 생명 있는 교회(에스겔 47:1-12)
지금으로부터 2600여 년 전,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이, 예루살렘을 침략해 와서, 많은 문물을 약탈해 갔고, 귀족들과 유능한 지도자들과, 1만 명의 젊은이들을 포로로 끌고 갔습니다.
그 포로들 가운데 25세의 젊은이, 에스겔도 함께 끌려갔습니다.
그리고 그의 나이 30이 되던 해, 에스겔은 포로지 바벨론에서 하나님으로부터 선지자로 부름 받아, 바벨론에서 노예생활에 시달리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며, 용기와 희망을 선포했습니다.
따라서 예레미야가 눈물의 선지자였다면, 아모스는 정의의 선지자였고, 에스겔은 소망의 선지자였습니다.
에스겔의 위로와 격려 그리고 희망의 메시지 가운데 하나가, 바로 오늘 본문의 환상입니다.
포로로 잡혀가 바벨론의 노예가 된 이스라엘 백성들이, 바벨론의 그발 강가에서, 황폐한 예루살렘의 회복을 간절히 열망하자,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환상을 보여주셨습니다.
이 환상의 내용은,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1-6절까지는, 생명강의 근원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고, 7-12절에는, 이 생명강물로 인한 생명의 역사에 대해서 말씀합니다.
오늘 본문1절에서 “성전문지방에서부터, 흘러나온 물이 제단을 한 바퀴 돈 다음, 그 제단을 통과하여, 다시 남쪽으로 흘러갔다.”고, 했습니다.
그러면 “여기 성전 문지방과 제단은 무엇이며, 바벨론에서 노예생활에 신음하는 이스라엘민족을 살릴 수 있고, 멸망 받을 수밖에 없는 백성들을 건져내어 영원한 하나님나라 백성으로 삼을 수 있는 능력의 강물은 무엇인가?”하는 것입니다.
우리 예수님 골고다 언덕에서 흘려주신 피의 은총, 보혈의 능력, 그것만이 우리 인류를 살려내는 생수의 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바로 예수가 생수입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보혈의 은총에 적셔진 영혼들은, 죄사함을 받습니다.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덧입게 되는 것입니다.
지금도 예수님의 보혈은, 이 역사 한가운데를 힘 있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그를 바라본 모든 사람들이 살아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역사를 살릴 수 있고, 하나님의 백성들을 살려낼 수 있는 생수가 무엇입니까?
바로 성령입니다.
누구든지 성령이 아니고서는, 예수를 그리스도라 시인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성령세례의, 물을 마시지 아니하고서는, 하나님의 자녀란 권세를 얻을 수 없는 것입니다.
또한 성령의 생수가 아니고서는, 인생의 목마름을 해결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 십자가의 보혈의 은총이, 성령의 생수가 제단에서부터 흘러온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바로 교회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기는 사람은, 교회를 어머니로 섬겨야 하는 것입니다.
교회에서 생수인 구원의 보혈이 흘러넘치기 때문에, 종교개혁자 칼빈은 “교회를 떠나서는 구원이 없다.”고, 강력하게 주장하였던 것입니다.
교회는, 화려한 교회라도 괜찮습니다.
두 세 사람이 모이는, 농촌교회라도 괜찮습니다.
대형 교회도 좋고, 작은 교회도 좋습니다.
혹은 예배당이 없어 길거리에서, 두 사람이 손을 붙들고, 전능하신 하나님의 이름을 불러도 괜찮습니다.
교회는 하나님의 제단입니다.
구원의 자리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교회에 나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예수님 만나고, 성령님의 임재를 경험하기 위해서입니다.
때로 신앙을 생활하다보면, 교회가 못나 보이기도 합니다.
교회의 허물이, 우리 눈에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예수 믿는 사람을 보면, 예수 믿지 않는 사람보다, 더 사악하게 보여지기 까지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기가 힘에 겹습니다.
어지럼증이 나고, 멀미가 일어납니다.
그러나 태평양 한가운데로 여행하다가, 거기서 멀미가 난다고, 뛰어내리는 사람은 없습니다.
교회는, 구원방주입니다.
흠이 있어 보여도, 때로는 어지럼증이 있어도, 교회에서 뛰어내리고, 구원받을 수 있는, 다른 어떤 길은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똑같이 교회생활을 한다고, 똑같은 신앙의 깊이, 똑같은 은혜의 깊이를 맛보며, 사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예수 믿는 성도들 가운데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첫째는, 구원은 받았으나 하나님의 뜻을 모르고 방황하는 사람들입니다.
둘째는, 꿈과 비전은 있으나 그것들을 위하여 대가를 치르지 않아 열매가 없는 사람들입니다.
셋째는, 하나님이 주신 꿈과 비전을 가질 뿐 아니라 합당한 헌신과 기도를 투자하여 열매 맺는 성도입니다.
성숙한 수준의 성도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세 번째 유형에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넷째 유형은, 자신이 풍성한 열매를 맺을 뿐 아니라, 나아가서 다른 사람들에게 꿈과 비전을 심어주고, 열매를 맺게 하는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사람을 가리켜 “비저너리”(Visionary) 즉 지도자, 인도자라고 부릅니다.
저는 우리고현교회 성도들이 꿈과 비전과 열매를 통하여, 남들도 열매 맺는 데까지 이르도록 도와주는, 하나님의 사람들로 쓰임 받기를 축복합니다.
본문 1절에서 “성전의 문지방에서 물이 흘러나왔다.”는 것은 “생명이 하나님의 보좌와 예수그리스도의 보혈에서 흘러나온다.”는 것을, 상징화한 것입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에스겔에게 성전을 보여주셨다.”는, 점에 주목해야합니다.
하나님께서 왜 에스겔에게 성전을 보여주셨을까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가나안 땅을 선물로 주실 때에, 하나님중심 즉 성전중심으로 살라고 명령하셨습니다.
그러나 포도나무의 소출과 땅의 소산이 늘어나고, 모든 것이 풍족해지자, 백성들의 삶의 중심이, 성전에서 점점 멀어지고, 자신의 집과 산업으로 옮겨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가나안 땅의 풍요의 신인 바알과 아세라를 겸하여 섬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렇습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중심, 성전중심으로 살지 못할 때는, 하나님의 백성다운 삶을 살수 없습니다.
우리는 가정과 직장을, 교회의 핵심가치로 삼고 중요시합니다.
하지만 이 말은, 우리의 삶의 중심이, 가정이나 직장이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우리의 삶이 하나님 중심, 말씀중심, 교회중심이 될 때 “우리의 가정과 직장이 하나님의 생명과 힘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왜 이스라엘이 바벨론의 포로가 되었습니까?
11절에서 말씀하는 대로 “진뻘과 개뻘같은 삶을 살면서, 하나님의 성전을 무시하고, 진정한 예배를 상실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삶의 무게중심이 하나님중심, 말씀중심, 교회중심이 되게 합시다.
그래서 주님으로부터 오는 생명이 우리의 가정과 직장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능력과 생명의 열매를 맺기 축복합니다.
9-10절을 읽겠습니다.
“이 강물이 이르는 곳마다 번성하는 모든 생물이 살고 또 고기가 심히 많으리니 이 물이 흘러 들어가므로 바닷물이 되살아나겠고 이 강이 이르는 각처에 모든 것이 살 것이며 또 이 강가에 어부가 설 것이니 엔게데에서부터 에네글라임까지 그물치는 곳이 될 것이라 그 고기가 각기 종류를 따라 큰 바다의 고기같이 심히 많으려니와”
그렇습니다.
성전문지방에서 흘러나온 물은, 점점 더 확대되어 강을 이룹니다.
생명의 물이 흐르는 곳마다, 각종 실과나무가 번성하고, 모든 생물이 살고, 마침내 사해가 어부의 그물을 던질 수 있는, 생명의 바다로 소생됩니다.
생명의 물이 접촉하는 곳마다, 생명의 역사가 나타났습니다.
여러분, 이 영광스러운 생명의 강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⓵이 생명의 강은,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루살렘에서부터 시작된 이 복음은, 로마에서 유럽으로 확장되고, 신대륙으로 흘러, 마침내 이 땅 고현교회까지 전파되었습니다.
⓶또 한 가지는 성령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행1:8절을 읽겠습니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
성령 받은 사람은, 성령의 권능을 받아 자신의 생명을 얻을 뿐만 아니라, 남의 생명을 살리는 생명의 전달자로 쓰임을 받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에스겔 선지자를 통해, 비록 지금은 하나님의 백성이 이방의 포로가 되어 수치를 당하고 있지만, 이스라엘이 하나님께로 돌이켜서, 말씀의 백성, 생명의 백성이 된다면, 이스라엘이 온 세계에 복된 나라, 생명의 능력을 전달하는 나라가 될 것이라는, 영광스러운 메시지를 주시고 계십니다.
그러므로 에스겔 선지자에게 주신 이 말씀은, 이스라엘 백성뿐 아니라, 우리가정과 교회와 민족을 향하여, 동일하게 품으시는 하나님의 소원이며, 우리가 사모하고, 열망해야 할 꿈과 비전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성도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1. 하나님의 생명 속으로 뛰어들어야 합니다
3절을 읽겠습니다.
“그 사람이 손에 줄을 잡고 동쪽으로 나아가며 천척을 측량한 후에 내게 그 물을 건너게 하시니 물이 발목에 오르더니”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와 생명 속으로, 직접 뛰어들어야 합니다.
생명의 물이, 발목에서부터 무릎과 허리까지 차고, 마침내 헤엄칠 정도로 깊은 강을 이룹니다.
이것은 우리가 뛰어들어야 할, 은혜의 수준을 보여줍니다.
여러 성도들 가운데는, 발목만 적시듯이 주일성수에 그치는, 신앙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릎의 수준은, 하나님께 기도와 마음을 기울이는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와 교제를 통하여, 아름다운 관계를 맺기를 원하십니다.
물론 허리의 수준은, 허리에 띠를 띠고, 헌신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생명과 은혜의 강물에 직접 뛰어들 뿐만 아니라, 더욱 깊이 잠겨야 합니다.
이 생명이, 바로 우리를 살리고, 우리의 가정과 교회와 민족을, 살게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2. 더 큰 은혜의 미래로 나아가야 합니다.
5절을 읽겠습니다.
“다시 천척을 측량하시니 물이 내가 건너지 못할 강이 된지라 그 물이 가득하여 헤엄칠 만한 물이요 사람이 능히 건너지 못할 강이더라.”
하나님의 행하심은, 광대무변합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깊이와 넓이를 다 헤아릴 수 없습니다.
발목에서 허리까지 차오르는 은혜의 물은, 스스로 감당할 수 있을지 모르나, 하나님은 우리가 측량할 수도 없고, 감당치도 못할 큰 은혜로 부으시고 넘치게 하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지금까지, 우리가정과 우리교회에 놀랍고 크신 은혜를 주셨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까지 받은 은혜로 만족하고,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지금까지 주신 은혜를 발판으로, 하나님의 더 큰 은혜와 생명의 미래로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 개인과 우리자녀들과 우리교회와 우리국가가, 하나님께 생명의 통로로 쓰임받기를 뜨겁게 사모합시다.
하나님의 무한 광대한 뜻은, 믿음으로 전진하는 자들만이 경험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의 선입관념과 불신앙과 불순종으로, 생명의 창일한 역사를 제한하지 맙시다.
우리 주의 복음의 능력을 누가 제한할 수 있겠습니까?
이 세상의 어떠한 사상이나, 제도나, 나라일지라도, 이 복음의 능력, 생명의 파도를 막을 수 없었습니다.
하나님의 생명의 강이 흘러가는 곳마다, 생명의 역사를 일으키듯이, 우리교회를 통해 흘러가는 복음의 물결이, 익산지역과 열방의 영혼을 새롭게 하고, 새로운 생명의 역사를 창출할 것입니다.
여러분, 에스겔처럼 이 시대의 “비저너리”(Visionary) 즉 인도자, 혹은 지도자로 쓰임을 받읍시다.
그리고 그 “비저너리”로 쓰임을 받기 위해, 하나님을 향한 우리 마음의 태도와 은혜 받는 자세를 새롭게 합시다.
하나님이 주시는 꿈을, 이웃들과 함께 공유하게 합시다.
그리고 그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서로 돕고 격려해 줍시다.
하나님께서 남한과 북한의 우리민족을 통일되게 하실 때, 복음의 국가로 삼으셔서, 서쪽으로는 중국과, 동쪽으로는 일본,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는 동남아의 수많은 나라를, 복음의 국가로 세우는데 사용하실 것을 믿습니다.
바라기는 비록 코로나19 팬데믹의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지만, 주님께 우리마음의 중심을 두고, 성전문지방에서 솟아난 생수가 많은 생명들을 살리듯이, 우리가 주님께 붙어있고, 주의 은혜를 사모함으로 말미암아, 우리도 살고, 이웃도 살게 하는, 생명의 전달자로 쓰임 받는 생명 있는 우리 교회의 모든 성도님들이 다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설교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사절을 지키는 이유 (신명기 16:13-17) (0) | 2021.11.22 |
---|---|
목숨을 건 신앙 (다니엘 3:17-18) (0) | 2021.11.15 |
이 뼈들이 능히 살겠느냐 (에스겔 37:7–10) (0) | 2021.11.01 |
그발 강가에 선 에스겔 (에스겔1:1-3) (0) | 2021.10.25 |
하나님의 은혜로다 (예레미야애가 3:19~24) (0) | 202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