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는 귀의 은총을 주소서 (마가복음 4:1-9)
위대한 교회 역사가인 필립 샤프(Phillip Schaff)는 “하나님의 맷돌은 천천히 돌아가지만 확실하게 고운 가루를 만든다”고 말했습니다.
매우 인상적인 표현입니다.
적어도 역사학자로서 “하나님 중심의 역사관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하나님의 맷돌소리를 듣고 계십니까?
성도는 마땅히 하나님의 “맷돌 소리”를 잘 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예수 믿는 사람들은 육체의 귀와 하나님께서 주신 믿음의 귀가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들을 귀를 주신 하나님의 목적은 의사소통을 위해서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영혼과 믿음의 귀를 통해 우리가 주님의 진리의 말씀듣기를 원하십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거듭 “들을 귀 있는 자는 들으라”고 말씀하십니다.
성경에는 하나님의 음성을 잘 들으므로 인하여 그의 삶이 새로워진 사람들이 나타나 있습니다.
구약시대의 사무엘은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귀와 기회를 가졌습니다.
삼상3:9절에 보면 엘리 제사장이 “사무엘에게 이르되 가서 누웠다가 그가 너를 부르시거든 네가 말하기를 여호와여 말씀하옵소서 주의 종이 듣겠나이다 하라”고 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사무엘은 주님의 말씀을 듣는 마음과 태도로 인하여, 그의 삶이 하나님께 보배처럼 쓰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오늘도 진실되게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자 하는 자가 있다면, 그가 속한 가문과 교회와 직장은 결코 변질되지 않을 것입니다.
신약시대의 사울 또한 주님의 음성을 듣고 난 이후의 삶이 새롭게 변화 받았습니다.
행9:4절에 보면 “땅에 엎드러져 들으매 소리 있어 이르시되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 하시거늘”이라고 했습니다.
바울은 주님의 음성을 듣고 삶의 변화를 체험하게 됩니다.
수많은 위대한 신앙 인물들의 공통분모는 “하나님의 말씀을 개인적으로 듣는 귀를 가졌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정말 복된 귀로써 주님의 음성을 늘 듣고 있는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오늘은 예수님의 “씨 뿌리는 자의 비유”를 통해 우리의 삶의 교훈을 얻고자 합니다.
1. 길가에 뿌려진 씨가 있습니다.
4절을 읽겠습니다.
“뿌릴 쌔 더러는 길가에 떨어지매 새들이 와서 먹어 버렸고”
14절에 보면 “길가에 뿌려진 씨는 말씀을 들을 때에 사탄이 즉시 와서 뿌려진 말씀을 빼앗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이성적으로 하나님 말씀을 듣는다고 하지만, 주님께서는 우리의 마음이 “영적 전쟁터이며 전쟁상태”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의 삶에서 주님의 음성보다, 때로는 사람의 소리나, 돈의 소리가 더 크게 확대되어 확성기처럼 들려올 때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믿음의 성장은 어려운 것입니다.
2. 돌밭에 뿌려진 씨가 있습니다.
5-6절을 읽겠습니다.
“더러는 흙이 얇은 돌밭에 떨어지매 흙이 깊지 아니하므로 곧 싹이 나오나 해가 돋은 후에 타져서 뿌리가 없으므로 말랐고”
17절에 보면 “돌밭에 뿌려진 씨는 말씀을 들을 때 즉시 기쁨으로 받으나, 말씀으로 인한 환란이나 핍박이 일어나는 때에 곧 넘어지는 자”를 의미합니다.
이런 사람은 주님의 말씀이 너무나 좋지만, 그 말씀에 순종하며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여유가 없습니다.
그래서 경제적인 유익, 자녀들이 잘되는 축복을 받기를 원하지만, 주님과 복음을 위해서 살기를 거절할 때 그 말씀은 우리에게 축복이 되지못합니다.
그러나 마5:10-11절에 보면 “의를 위하여 박해를 받는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라 나로 말미암아 너희를 욕하고 박해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슬러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라고 했고, 빌1:29절에서는 “그리스도를 위하여 너희에게 은혜를 주신 것은 다만 그를 믿을 뿐 아니라 또한 그를 위하여 고난도 받게 하려 하심이라”고 했습니다.
그렇습니다.
복음을 순종하려다가 당하는 고난과 환란은 실상은 축복인 것입니다.
3. 가시떨기에 떨어진 씨가 있습니다.
7절을 읽겠습니다.
“더러는 가시떨기에 떨어지매 가시가 자라 기운을 막으므로 결실치 못하였고”
막4:19절에 보면 가시떨기에 떨어진 씨는 세상의 염려와 물질의 유혹 기타 욕심이 들어와 말씀을 막아 결실을 못하게 되는 자를 의미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나름대로 은혜를 받고 말씀을 실천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런데 세상의 염려, 돈의 유혹이라는 장애물, 기타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들이 마음속에 들어와 말씀을 막아 궁극적으로 열매 맺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탐심이 움직이면 열매를 맺지 못합니다.
4. 좋은 땅에 뿌려진 씨가 있습니다.
8절을 읽겠습니다.
“더러는 좋은 땅에 떨어지매 자라 무성하여 결실하였으니 삼십 배와 육십 배와 백배가 되었느니라 하시고”
20절에 보면, 말씀을 듣고 받아들일 때 30배와 60배와 100배의 결실을 맺게 됩니다.
예수 믿는 우리는 30배의 결실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100배의 열매를 맺기를 적극적으로 소원하고 순종함으로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
기회가 은혜입니다.
하나님께서 기회를 주신대로 우리는 합당한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경청하는 자가 받는 축복은 무엇입니까?
① 경청은 믿음의 성장을 가져옵니다.
“눈과는 달리 꺼풀이 없는 귀는 잘 들으라”고 늘 열려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듣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아이들은 청각이 완벽한 상태로 태어납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두 귀를 주신 것은, 양쪽 모두의 말을 공평하게 들으라는 뜻입니다.
그렇습니다.
잘 듣는 것은, 공평하게 마음으로 듣는 것이며, 수용하는 자세로 듣는 것입니다.
롬10:17절에 보면 “그러므로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라고 했습니다.
말씀을 들어야 믿을 수 있습니다.
말씀 없이 믿는 것은 맹신이요, 미신입니다.
기독교는 먼저 말씀이 앞섭니다.
말씀을 듣고 난 다음에 우리는 믿음의 강화를 체험하게 됩니다.
② 경청은 순종의 열매를 가져옵니다.
계3:20절에 보면 “볼지어다 내가 문밖에 서서 두드리노니 누구든지 내 음성을 듣고 문을 열면 내가 그에게로 들어가 그로 더불어 먹고 그는 나로 더불어 먹으리라”라고 했습니다.
주님은 지금도 우리의 마음문 밖에서 두드리고 계십니다.
주님은 우리와 깊이 교제하기를 원하시며, 삶의 문제를 해결해 주기를 바라십니다.
주님의 음성을 듣는 자만이 주님을 향하여 마음의 문을 열 수가 있습니다.
순종은 “듣는다”는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신중하게 들을 때 순종할 수 있습니다.
③ 경청은 관계의 발전을 가져옵니다.
잘 들어야 하나님과의 관계, 사람과의 관계가 아름다운 관계로 변화됩니다.
복음주의 신학자 존 스토트(John R.W Stott)는 이런 성도들의 귀를 가리켜 “이중의 청취”라고 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음성을 들을 뿐 아니라 세상 사람의 소리도 잘 들어야 됩니다.
교회가 세상 사람들의 소리를 외면하면, 하나님의 은혜와 복을 공유할 수 없습니다.
사랑하는 믿음의 가족 여러분!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이란 책을 통해 많은 사람을 일깨우는 스티븐 코비(Stephen R. Covey)는 소위 성공자들 사이에 공통분모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모두 관계의 성공자란 공통분모입니다.
대인관계의 핵심은 상대방에 대한 인정함과 존중함입니다.
여러분은 경청하는 귀의 소유자입니까?
어느 책에서 이런 글을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경청한 다음에 이해시켜라”
그렇습니다.
우리의 주님께서도 사랑의 귀를 통하여 죄인의 절규를 들으셨기 때문에 구원의 길을 보여주셨습니다.
다른 사람의 말을 자신의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들어줄 때 사람들이 좋아하게 됩니다.
이 시간우리 모두 열린 귀로 출발합시다.
그리고 열린 귀를 통해 성령께서 교회들에 하시는 말씀을 잘 듣고 소중하게 받아 믿음의 성장과 순종의 열매와 축복의 열매를 풍성하게 받되 100배로 받는 저와 여러분이 됩시다.
우리 주님은 지상최고의 교사이십니다. 경외함으로 들읍시다.
우리 주님은 완전한 교사이십니다. 신뢰를 가지고 들읍시다.
우리 주님은 사랑의 교사이십니다. 감사하는 마음, 따뜻한 마음으로 들읍시다.
'설교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사의 능력을 회복합시다 (빌립보 4:4-7) (0) | 2023.08.29 |
---|---|
하나님께 쓰임 받는 기쁨 (역대상 29:20) (0) | 2023.08.28 |
내가 복음을 전하지 않으면 (누가복음 16:19-31) (0) | 2023.08.25 |
좋은 교회의 꿈을 갖자 (계시록 1:9-20) (1) | 2023.08.24 |
지금도 하나님의 구원계보는 진행 중이다 (룻기 4:13-21) (0) | 202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