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리 381

성경의 정경성

성경의 정경성 성경은 왜 정경인가? (4) 성경의 정경성(正經性) 성경은 그 자체가 정경성을 자증(自證)하고 있으며 교회의 공의회는 성경이 본래부터 지니고 있는 그 권위를 다만 공식적으로 인정했을 뿐이다 구약성경의 정경은 얌니아 종교회의 (A.D 90년)에서 구약 성경 39권이 성경으로 인정되었다 공동번역성서에 수록되어 있는 외경은 제롬이 삽입해 놓은 것이다 신약성경의 정경은 카르타고 회의 (A.d 397년)에서 신약성경 27권이 정경으로 인정되었다 이것들은 사도성, 영감성, 보편성, 영적 내용성에 의해서 결정되었다

기독교교리 2023.08.15

성경은 왜 완전한가?(성경의 완전성)

성경은 왜 완전한가?(성경의 완전성) (3) 성경의 완전성 1) 성경의 신적 권위 성경은 신적 권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서적과는 다르며 또한 그 권위도 성경 자체가 지니고 있는 것이지 교회나 사람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이 아니다 이 권위의 내용에는 역사적 권위와 규범적 권위가 있다 2) 성경의 절대적 필요성 성경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교회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유용한 것이 아니다 교회에 의해서 성경이 잘못 이용당할 수 없고 성경에 의해서 교회가 개혁되어야 한다 3) 성경의 명료성 성경에는 구원의 도리가 명료하게 계시되어 있으므로 교회나 사람의 해석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시 19:7~8) 4) 성경의 충족성 성경은 신자들의 영적 필요에 충분하고 교회의 구전이나 신조들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구..

기독교교리 2023.08.14

완전 영감, 사상적 영감, 부분적 영감이란 무엇인가? (그 뜻과 의미)

완전 영감, 사상적 영감, 부분적 영감이란 무엇인가? (그 뜻과 의미) 4) 영감의 범위 - 완전 영감, 사상적 영감, 부분적 영감 완전 영감 성경의 일부분 (예를 들면 교리나 사상)만이 아니라 저체가 완전한 영감이라는 것이다 예수님은 구약성경을 "성경(들)"으로 칭하셨으며 구약 성경을 인용하여 자신의 말씀을 증거하셨다 바울은 성경에 기록한 자신의 말을 "하나님의 말씀"이라 했으며 (살전2:13 고전 2:13 고후 13:3) 모든 성경은 영감으로 된 것이라 했다 (딤후 3:16) 베드로도 바울의 서신들을 구약의 문서들과 같이 성경으로 인정하였으며 (벧후 3:15`16) "겨의 모든 예언은 성령의 감동을 받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받아 말한 것"이라고 했다 (벧후 1:20`21) 사상적 영감 성경 기자의 사상..

기독교교리 2023.08.13

유기적 영감설, 기계적 영감설, 동력적 영감설, 축자적 영감설이란 무엇인가? (그 뜻과 의미)

유기적 영감설, 기계적 영감설, 동력적 영감설, 축자적 영감설이란 무엇인가? (그 뜻과 의미) 3) 영감의 성질 - 유기적 영감설, 기계적 영감설, 동력적 영감설, 축자적 영감설 유기적 영감설 성령은 성경 기자들을 유기적으로 영감하여 그들의 성품, 재능, 교육, 용어와 문제 등을 그래도 사용하셨다 또한 성령은 그들의 마음을 조명하셨으며 기억을 새롭게 하셨고 죄의 영향을 배제하셨으며 사상을 표현할 용어의 선택까지도 지도하셨다 그러므로 성경 각 권은 오류가 없는 하나님의 말씀일분만 아니라 거기에는 시대적 특징과 개인의 개성과 문제까지도 나타나 있다 기계적 영감설 성경 기자들이 성경을 기록할 때 성령이 불러 주신것을 그대로 받아썼다는 것이다 즉 성경기자들의 정신활동이 중지되었고 그들은 기계적인 필기자에 불과했..

기독교교리 2023.08.12

영감이란 무엇인가? (영감의 뜻과 의미)

영감이란 무엇인가? (영감의 뜻과 의미) 성경에서 영감이란 무엇인가? (영감의 뜻과 의미) (2) 성경의 영감 1) 영감(靈感)의 정의 영감이란 하나님이 인간 저자(기자)를 감독하여 그들의 개성을 사용하는 가운데 신적 계시를 오류없이 원전의 말속에 기록하고 작성하는 것이다 2) 영감에 대한 성경의 증거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딤후3:16) "경의 모든 예언은 사사로이 풀 것이 아니니 예언은 언제든지 사람의 뜻으로 낸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의 감동하심을 입은 사람들이ㅐ 하나님꼐 받아 말한 것임이니라" (벧후1:20~21) 바울은 자신의 말을 "성령이 가르치신 것"(고전 2:13이라 했고,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서 말씀하신 것"(고후13:3)이라 했으며 자신이 데살로니가 교인들에..

기독교교리 2023.08.11

특별계시와 성경의 관계는 무엇인가?

특별계시와 성경의 관계는 무엇인가? 성경 - 특별계시와 성경의 관계 3. 성경 (1) 특별계시와 성경의 관계 특별계시는 메시지와 이적적 사실을 통한 하나님의 직접적인 자기 전달이며 성경은 하나님의 특별계시가 경험과 역사에 근거하여 선지자와 사도들을 통해 기록된 것이다 따라서 특별계시는 성경과 동일하기도 하고 그 이상이고 하다

기독교교리 2023.08.07

특별계시란 무엇인가? (특별계시의 뜻과 의미)

특별계시란 무엇인가? (특별계시의 뜻과 의미) 특별계시 성경은 특별계시의 책으로서 그 안에는 말씀과 사실이 병행되어 있다 말씀은 사실을 해석해 주며 사실은 말씀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1. 특별계시의 필요성 죄로 인해 일반계시가 흐려지고 부패해지자 특별계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1) 흐려진 일반계시의 정정, 해석이다 (2) 구속적 계시를 통한 인간구원이다 2. 특별계시의 방법 (1) 하나님의 현현(顯現)은 그룹 사이에 (시 80:1), 불과 연기의 구름 속에서 (출3:2), 폭풍 속에서 (욥 38:1), 세미한 음성 속에서 (왓아 19:12) 이루어졌다 삼위중 제 2위로 일컬어지는 "여호와의 사자"의 현현(출23:20~23, 창 31:11)도 있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성육신 (골 2:9)이 그 정점이다 ..

기독교교리 2023.07.30

계시란 무엇인가? (계시의 개념, 종류 그리고 일반 계시)

계시란 무엇인가? (계시의 개념, 종류 그리고 일반 계시) 1.계시의 일반적 고찰 (1) 계시의 개념 하나님은 불가해(不可解)한 존재이시다 하나님이 친히 자신을 인간에게 계시하셔야만 인간은 그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계시를 통하여 인간은 하나님을 알고 예배하며 교통하면서 살 수 있다 (2) 계시의 종류 1) 자연계시와 초자연계시 2) 일반계시와 특별계시 3) 자연계시와 성경계시 2. 일반계시 일반계시는 창조에 근거하고 있으면 자연법칙, 인간의 정신 구조, 역사 등을 통하여 나타난다 (1) 일반계시의 불충분성 첫째, 죄로 말미암아 일반계시와 이에 대한 인간의 감수성은 모두 희미해졌다 둘째, 일반계시는 하나님과영적 사물에 대한 확실한 지식을 전달해 주지 못한다 셋째, 일반계시는 자연종교의 충분한 기초도 되지 ..

기독교교리 2023.07.29

종교란 무엇인가? (종교의 뜻과 의미)

종교란 무엇인가? (종교의 뜻과 의미) 1. 보편적 현상인 종교 인간은 불기피한 종교적 존재이며 종교는 인간생활에 있어서 가장 뚜렷한 현상의 하나다 2. 종교의 본질 종교란 말의 뜻은 인간이 하나님께 대하여 가지는 관계이다 종교의 정의는 하나님께 대한 의식적이며 자발적인 영적관계로서 그것을 생활 전체 속에서 특히 예배 행위에서 표현하는 것이다 3. 종교의 자리 종교는 마음에 자리잡고 있다 마음은 전인의 중심체요 영혼의 중심적 기관이다 여기에서 생활, 사상, 감정, 의지가 나온다 (잠 4:23, 신 30:6) 4. 종교의 기원 인간은 자신의 능력으로 하나님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하나님은 자연 계시와 성경계시를 통해서 자신을 인간에게 나타내시고 예배하게 하셨다

기독교교리 2023.07.28

영감이란 무엇인가? (영감의 뜻과 의미)

영감이란 무엇인가? (영감의 뜻과 의미) 하나님이 자신의 뜻을 알려 주시기 위해 성경을 기록하실 때, 그 과정이나 실수가 생겨나지 않도록 하나님의 성령이 감독하셨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하나님이 성경을 기록하기 위하여 인간에게 주신 신령한 감동을 말한다 성경의 영감에 대한 견해는 기계적 영감, 동력적 영감, 유기적 영감이 있다 기계적 영감은 성경의 저자가 마치 타이프라이터와 같이 하나님이 불러 주시는 대로 기계적으로 받아 적었다는 견해이다(100% 하나님, 0% 인간) 동력적 영감은 성령의 영감은 있되, 그 영감이 다만 기록자의 지적 능력이나 영적 지각력을 극도로 심화, 향상시킨 것에 불과하다고 보는 견해이다(0% 인간, 100% 하나님) 유기적 영감은 하나님은 인간 저자들에게 있는 그대로의 성품과 기질..

기독교교리 2023.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