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리 381

하나님의 속성이란 무엇인가? (하나님의 속성의 뜻과 의미)

하나님의 속성이란 무엇인가? (하나님의 속성의 뜻과 의미) 하나님의 존재와 속성 하나님은 스스로 계시며 말씀하신다 그분은 창조 세계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을 제시하신다 하나님은 관계적인 분이시며 우리는 그분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른다 하나님은 다음의 이름을 가지고 계신다 (여호와, 엘 ,엘로힘, 엘룐, 데오스, 아버지, 아빠, 파테르, 주, 아도나이, 류리오스, 만군의 여호와 하나님) 하나님은 비공유적 속성을 가지고 계신다 (자존성, 불변성, 완전성, 영원성, 전지성, 전능성, 편재성과 내재성) 하나님은 공유적 속성을 가지고 계신다 (거룩, 의로움, 진실, 선, 사랑, 긍휼, 자비, 은혜 오래 참으심)

기독교교리 2023.07.03

계시란 무엇인가? (계시의 뜻과 의미)

계시란 무엇인가? (계시의 뜻과 의미) 계시란 하나님이 자신을, 곧 자신의 본성과 마음과 생각과 행위와 뜻에 대한 진리들을 우리에게 열어 보여 주시고 알려 주시는 것이다 계시에는 일반계시와 특별계시가 있다 일반계시는 하나님을 모른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충분히 하나님을 계시하되, 인간이 그것만으로 구원을 받을 만큼 충분하지는 않다 특별계시란 특정한 시대, 특정한 대상에게 하나님 자신을 드러내 보이시는 것으로서, 특히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구속 계획을 밝히 보여 주는 것을 의미한다 특별계시를 통해 하나님의 일반계시들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일반계시는 특별계시를 제대로 이해하도록 장려해 준다 우리는 완전 유기적 축자 영감을 믿는다

기독교교리 2023.07.02

정경과 외경이란 무엇인가? (정경과 외경의 뜻과 의미)

정경과 외경이란 무엇인가? (정경과 외경의 뜻과 의미) 정경, 외경이란 무엇인가? 정경(Canon)이라는 말은 헬라어 카논(Kanon)에서 왔는데 원래 표준이나 잣대를 의미한다 이 말이 성경에 적용되어, 로마 카톨릭 교회는 구약 46권 신약 27권을 믿음과 행위의 표준 즉 정경으로 받아들인 반면 복음적 개신교회는 구약 39권과 신약 27권 총 66권만을 하나님의 말씀 곧 정경으로 받아들였다 이것은 카톨릭과 개신교가 정경을 구성하는 기준들에 대하여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약의 정경을 구성하는 기준 면에서 개신교는 카톨릭과 동일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구약의 경우 개신교는 유대교가 정경으로 받아들인 39권만이 구약 정경의 자격이 있다고 보는 반면 카톨릭은 유댁의 정경 이외에 몇 가지 다른 ..

기독교교리 2023.07.01

자유주의, 복음주의(보수주의), 개혁주의(칼빈주의), 알미니안주의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복음주의(보수주의), 개혁주의(칼빈주의), 알미니안주의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복음주의(보수주의), 개혁주의(칼빈주의), 알미니안주의의 차이 1. 자유주의 19세기 및 20세기 초엽 개신교에서 유행하던 신학적 경향으로, 상황에 따라 전통적 교리를 포기하고 세상의 도덕적 가치와 견해를 수용하는 인복주의적 특징을 가진다 2. 복음주의 (보수주의) 신학적 자유주의에 맞선 입장으로 영적인 부흥을 존중하고 갈구하는 교파를 초월한 운동이며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고 구원을 강조하며 선교에 힘쓰는 특징이 있다 3. 개혁주의 (칼빈주의) 개혁주의는 종교개혁으로 말미암은 신학적 전총으로 오직 영감을 최종 권위로 인정하고 하나님 중심적인 특징을 가진다 "오직 성경", "오직 그리스도", "오직 은혜", "오..

기독교교리 2023.06.30

악인과 의인의 최후의 상태란 무엇인가? (악인과 의인의 최후의 상태의 뜻과 의미)

악인과 의인의 최후의 상태란 무엇인가? (악인과 의인의 최후의 상태의 뜻과 의미) (51) 최후의 상태 1) 악인의 최후상태 가. 악인이 처할 장소 지옥이다. 어떤 사람들은 지옥이 주관적 상태를 의미한다고 하나, 지옥은 장소다 (마 13:42 계 20:14~15 벧전 3:19 눅 8:31 벧후 2:4) 나. 영벌의 상태 고통, 고민, 울며 이를 간다 (마 8:12, 13:50 막 9:18, 48 눅 16:23, 28 계 14:10, 21:8) 다. 형벌의 기간 영원하다 (막 9:48) 영원성을 부정하는 사람도 있다 2) 의인의 최후 상태 가. 새 창조 현 세계는 떠나가고 신천신지가 설립된다 (마 19:28 행 2:21 히 12:27 벧후 3:13 계 21:1) 전적인 새 창조라기보다는 현우주의 갱신이다 ..

기독교교리 2023.06.28

최후의 심판이란 무엇인가? (최후의 심판의 뜻과 의미)

최후의 심판이란 무엇인가? (최후의 심판의 뜻과 의미) (50) 최후의 심판 1) 성경적 근거 구약성경 : 시 96:13 전 3:17, 12:14 신약성경 : 마 11:22, 16:27, 25:31~46 행 17:31 롬 2:5~10, 16, 14:12 고전 4:5 고후 5:10 딤후 4:1 히 9:27 벧전 4:5 계 20:11~14 2) 심판의 주체 심판주 : 그리스도 (마 25:31~32 요 5:27 행 10:42, 17:31 빌 2:10 딤후 4:1) 천사들의 보조 : 마 13:41~42, 24:31, 25:31 성도들의 참여 : 시 149:5~9 고전 6:1 계 20:4 3) 심판의 대상 첫째, 인류 개개인 (전 12:14 시 50:4~6 마 12:36~37, 25:32 롬 14:10 고후 5:..

기독교교리 2023.06.27

부활이란 무엇인가? (부활의 뜻과 의미)

부활이란 무엇인가? (부활의 뜻과 의미) (49) 부활 1) 부활에 관한 성경적 근거 고전 15장 살전 4:13`17 고후 5:1~10 계 20:13 2) 부활의 성질 첫째, 육체적 부활 (롬 8:11 고전 6:13~20, 15장) 둘째, 의인과 악인의 부활 (요 5:28~29 행 24:15 단 12:2) 안식교인들과 여호와의 증인들은 악인의 부활을 부정하고, 악인은 전적으로 멸절한다고 잘못 주장한다 셋째, 의인의 부활은 구원과 영화이고, 악인의 부활은 죽음의 극형이다 3) 부활의 시기 가. 부활의 시기에 관한 성경기록 첫째, 그리스도의 재림 및 세상의 종말과 동시적으로 일어난다 둘째, 심판 직전에 일어난다 셋째, 그리스도의 재림과 직접 연결된다 (고전 15:23 빌 3:20~21 살전 4:16) 넷째,..

기독교교리 2023.06.26

천년왕국이란 무엇인가? (천년왕국의 뜻과 의미)

천년왕국이란 무엇인가? (천년왕국의 뜻과 의미) (48) 천년왕국 1) 천년왕국에 관한 여러 가지 입장 천년왕국이 있을 것이라는 입장 (전천년설, 후천년설)과 천년왕국은 없다는 입장(무천년설)이 있다 (계 20:1~6) 전천년설 : 그리스도의 재림이 천년왕국 전에 있다는 설 후천년설 : 그리스도의 재림이 천년왕국 후에 있다는 설 무천년설 : 천년왕국은 없다는 설.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들의 일반적 부활, 최후의 심판은 같은 때에 일어나기 때문에, 현재의 하나님의 영적 왕국은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나라로 직접 넘어간다는 입장이다 2) 전천년설 교회시대-그리스도의 공중재림-죽은 성도들은 부활하여, 살아 있는 성도들과 공중으로 휴거함- 이 모든 성도들은 어린양과의 7년 혼인잔치를 하며 그 동안에 지상에는..

기독교교리 2023.06.25

재림이란 무엇인가? (재림의 뜻과 의미)

재림이란 무엇인가? (재림의 뜻과 의미) 2) 재림 가. 재림의 시기 재림 전에는 반드시 징조들이 있다 (마 24:14 살 2:2~3 벧후 3:9) 그러나, 재림은 가까왔다 (마 16:28, 24:34 히 10:25 약 5:9 벧전 4:5 요일 2:18) 오순절 사건 이후로 마지막 때는 이미 시작외었으므로, 재림은 임박했다 (살전 5:1~3) 재림의 정확한 때는 하나님밖에 모르시고, 예수와 천사들도 모른다 (마 24"36) 나. 재림의 형식 인격적 재림: 재림은 기독교의 원리가 사회를 지배함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인격적으로 임하신다 (행 1:11, 3:20,~21 마 24:44 고전 15:23 빌 3:20 골 3:4 살전 2:19, 3:13, 4:15~17 딤후 4:8 딛 2:13 히 9:28) 형태적 ..

기독교교리 2023.06.24

그리스도의 재림 전에 있을 큰 사건

그리스도의 재림 전에 있을 큰 사건 (47) 그리스도의 재림 1) 재림 전의 큰 사건 가. 이방인들을 부르심 그리스도가 재림하시기 전에 먼저 복음이 모든 민족들에게 전파된다 (마 24:14 막 13:10 롬 11:25) 나. 이스라엘의 회심 이스라엘 민족이 끝날에는 주께로 돌아올 것이다 (롬 11:11~32) 다. 적 그리스도의 출현 적 그리스도가 나타나서 그리스도를 대적하다가 마침내 죽음을 당할 것이다 (살후 2:3~4) 라. 큰 배도와 재난 환난이 극심하므로 배도하는 일들이 있고, 큰 재난이 닥칠것이다 (마 24:12 딤후 1:1~7, 4:3~4 살후 2:3) 마. 표적과 기사 다음과 같은 표적과 기사들이 재림의 징조로서 나타날 것이다 (마 24:29~30 막 13:24~25 눅 21:25~26) 첫..

기독교교리 202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