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리 381

구원론

구원론 5. 구원론 - (29) 성령과 구원론과의 관계 1) 구원론의 의의 구원론은 성령이 신자들에게 구원사역을 이루시는 전과정에 관한 교리다 즉, 예수 그리스도가 이루신 속죄사역을 성령이 신자 각자에게 적용하심에 관한 교리다 2) 기독론과의 관계 기독론은 예수 그리스도가 신자의 구원을 위해 객관적, 역사적으로 이루어 놓으신 속죄사역을 말한다 이러한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에 근거하여, 성령은 신자들 각자의 마음과 생활에 구원을 적용하신다 3) 성령과 구원의 과정 구원의 전과정 (소명, 중생, 회심, 신앙, 칭의, 성령세례, 성령의 내주, 성령충만, 성화, 영화)은 성령이 구원의 역사를 신자의 마음과 생활 속에 이루시는 순서를 뜻한다 이러한 성령의 역사는 일시에, 혹은 단계적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기독교교리 2023.05.29

그리스도의 3중직 (제사장, 선지자, 왕)

그리스도의 3중직 (제사장, 선지자, 왕) 1) 제사장직 그리스도는 제사장직을 가지셨다 이에 관하여 히브리서에 가장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 (히 3:1, 4, 4:14, 5:5, 6:20, 7:26, 8:1) 예수님은 자기 백성(신자들)의 죄를 속하기 위해 하나님께 속죄의 제사를 드렸다 2) 선지자직 예수님은 선지자직도 가지셨다 예수님은 친히 자신을 '선지자'라고 지칭하셨다 (눅 1:33) 예수님은 장래 일을 예언하셨다 3) 왕직 또한 예수님은 왕의 직분도 가지셨다 예수님은 우주적 왕권을 가지셨다 (마 28:18) 즉 예수님은 마귀를 이기고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가지셨다 (엡 1:22 요일 3:8 히 2:14 요 16:11 마 12:29)

기독교교리 2023.05.28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의 사실과 의미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의 사실과 의미 (25) 부활과 승천 1) 부활의 사실 가. 그의 빈 무덤 (막 16:6 등) 나. 부활하신 후 여러 사람들에게 나타나심 (요 20:11~17, 20:26~29, 21:1~23 마 28:9~10, 28:16~20 고전 15:5~8 눅 24:13~43) 다. 제자들의 변화 (행 2:32, 4:20) 라. 오순절에 성령강림이 있게 된 것 (행 2:33) 마. 기독교의 존재 근거 (고전 15:17) 2) 의 미 우리의 의롭다하심을 위한 것으로 (롬 4:25) 우리의 믿음이 확증되며 (고넞 15:17) 신자들의 부활의 보증이며 (고전 15:20~22) 하나님의 아들되심의 확증이다 (롬 1:4) 3) 승천 예수님이 많은 사람 앞에서 승천하심 (행 1:9~11)

기독교교리 2023.05.26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과 의미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과 의미 (24)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 1) 고난과 죽음의 사실 가. 예루살렘에서의 마지막 주간 (눅 19:29~22:46) 나. 배반과 체포 당하심 (요 18:2~13) 다. 안나스 앞에서 심문 당하심 (요 18:12~24) 라. 가야바 앞에서 심문 당하심 (막 14:53~15:1) 마. 빌라도 앞에서 심문 당하심 (막 15:1~5) 바. 헤롯 앞에서 심문 당하심 (눅 23:8~11) 사. 빌라도 앞에서 두번째 심문을 당하심 (막 15:6~15) 아. 못박히심 (마 27:35 막 15:24 눅 23:33 요 19:18) 자. 죽으심 (마 27:50 막 15:37 눅 23:46 요 19:30) 차. 장사되심 (마 27:59~60 막 14:45~46 눅 23:52~53 요 19:38~4..

기독교교리 2023.05.24

예수님의 지상 사역 준비와 공적 사역

예수님의 지상 사역 준비와 공적 사역 (23) 예수님의 지상생활 1) 사역의 준비기간 탄생 :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심 (마 1:18~25 눅 2:1~7) 시므온, 안나가 찬양함 (눅 2:25~38) 동방박사의 경배를 받으심 (마 2:1~12) 유년기 : 애굽으로 피신함 (마 2:13~15) 성장 : 키와 지혜가 자람 (눅 2:40, 52) 성전에서 율법 교사들과 대화하심 (눅 2:41~51) 세례 : 세례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심 (눅 3:21 마 3:13~17) 시험 : 마귀에게 시험을 받으심 (마 4:4~11 눅 4:1~13) 2) 공적 사역 '예수께서 가르치심을 시작할 때에 삼십 세쯤 되시니라' (눅 3:23) 예수의 공생애의 약 3분의 1은 말씀을 가르치시고, 약 3분의 2는 병 고치고 귀신을 쫓아내..

기독교교리 2023.05.23

성육신이란 무엇인가? (성육신의 뜻과 의미)

성육신이란 무엇인가? (성육신의 뜻과 의미) (22) 성육신(成肉身) 1) 의미 : 하나님이 사람이 되신 것을 뜻한다 2) 역사적 사실성 : 동정녀 마리에게서 태어나셨다 (사 7:14 마 1:16) 3) 성경의 증명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요 1:14) '육신으로 나타나신 바 되시고' (딤전 3:16) '사람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며' (빌 2:7~8) 4) 목적 첫째, 속죄의 희생제물이 되어 인간을 구원키 위해 (마 20:28 히 10:1~10 딤전 1:15) 둘째, 마귀의 일을 멸하기 위해 (요일 3:8) 세째, 하나님을 인간에게 나타내기 위해 (요 1:18) 네째, 다윗과의 언약을 성취하기 위해 (눅 1:31~33)

기독교교리 2023.05.22

그리스도의 선재에 대한 증거

그리스도의 선재에 대한 증거 (21) 그리스도의 선재(先在) 1) 예수 자신의 증거 '아브라함이 나기 전부터 내가 있느니라' (요 8:58) 2) 사도들의 증거 요한 (요 1:1~14) 바울 (골 1:16) 3) 성경의 증거 여호와의 사자 (출 3:2, 4)는 제 2위의 하나님이신 예수 그리스도로 인정되며 구약성경의 '주' 또는 '여호와'는 신약 성경에서 예수에게 적용되었다 (마 22:43~45 행 2:34~36)

기독교교리 2023.05.21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 (20) 그리스도의 본성 1) 인성 가. 인성에 대한 증거 인간의 몸을 가지심 : 여자에게서 나시고 (눅 2:5~7; 갈 4:4) 성장하셨으며 (눅 2:40, 52) 인간이 보고 만졌으며 (요일 1:1; 마 26:12) 영혼과 육체를 가지셨다 (요 19:30~34) 인간적인 제한과 고통을 당하심: 주리심 (마 4:2, 21:18) 목마르심 (요 19:28) 주무심 (마 8:24) 피곤하심 (요 4:6) 우심 (요 11:35) 고민하심 (마 26:38) 노하시고 분히 여기심 (막 3:3; 10:14: 요 11:33) 고난과 시험을 받으심 (히 2:10, 18, 4:15, 5:7~8) 인간의 칭호를 가지심 : 나사렛 예수 (행 2:22 마 1:21) 다윗의 자손 (마 10:47)..

기독교교리 2023.05.20

예수 그리스도의 명칭은 무엇인가?

예수 그리스도의 명칭은 무엇인가? 4. 기독론 행위언약을 어긴 아담의 자손인 모든 인간들을 구원하기 위해 속죄사역을 담당하시고 은혜언약의 중보자가 되신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교리이다 (19) 그리스도의 명칭 예수 : '구원하다'라는 뜻 (마 1:21)으로 구약성경의 '여호수아'와 같다 (수 1:1, 슥 3:1) 그리스도 : '기름부음받은 자'라는 뜻으로 구약성경의 '메시야'와 같다 구약성경에서 기름부음을 받은 자는 왕(삼상 10:1), 제사장 (출 29:7), 선지자 (왕상 19:16)였다 여기서 '기름'은 '성령'을 상징하며 (사 61:1, 슥 4:1~6) '기름부음'은 '성령의 임하심'을 상징한다 (삼상 10:6, 10, 16:13~14) 인자(人子) : 예수가 자신을 지칭하는 가장 통상적인 호칭으로..

기독교교리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