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리 381

부활이란 무엇인가? (부활의 뜻과 의미)

부활이란 무엇인가? (부활의 뜻과 의미) (49) 부활 1) 부활에 관한 성경적 근거 고전 15장 살전 4:13`17 고후 5:1~10 계 20:13 2) 부활의 성질 첫째, 육체적 부활 (롬 8:11 고전 6:13~20, 15장)둘째, 의인과 악인의 부활 (요 5:28~29 행 24:15 단 12:2)안식교인들과 여호와의 증인들은 악인의 부활을 부정하고, 악인은 전적으로 멸절한다고 잘못 주장한다셋째, 의인의 부활은 구원과 영화이고, 악인의 부활은 죽음의 극형이다 3) 부활의 시기 가. 부활의 시기에 관한 성경기록 첫째, 그리스도의 재림 및 세상의 종말과 동시적으로 일어난다둘째, 심판 직전에 일어난다셋째, 그리스도의 재림과 직접 연결된다 (고전 15:23 빌 3:20~21 살전 4:16)  넷째, 마지막..

기독교교리 2024.06.17

천년왕국 (전천년설, 후천년설, 무천년설)

천년왕국 (전천년설, 후천년설, 무천년설) (48) 천년왕국 1) 천년왕국에 관한 여러 가지 입장 천년왕국이 있을 것이라는 입장 (전천년설, 후천년설)과 천년왕국은 없다는 입장(무천년설)이 있다 (계 20:1~6) 전천년설 : 그리스도의 재림이 천년왕국 전에 있다는 설후천년설 : 그리스도의 재림이 천년왕국 후에 있다는 설무천년설 : 천년왕국은 없다는 설.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들의 일반적 부활, 최후의 심판은 같은 때에 일어나기 때문에, 현재의 하나님의 영적 왕국은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나라로 직접 넘어간다는 입장이다 2) 전천년설 교회시대-그리스도의 공중재림-죽은 성도들은 부활하여, 살아 있는 성도들과 공중으로 휴거함- 이 모든 성도들은 어린양과의 7년 혼인잔치를 하며 그 동안에 지상에는 7년 환..

기독교교리 2024.06.14

재림의 시기와 형식과 목적

재림의 시기와 형식과 목적 (2) 재림 가. 재림의 시기 재림 전에는 반드시 징조들이 있다 (마 24:14 살 2:2~3 벧후 3:9) 그러나, 재림은 가까왔다 (마 16:28, 24:34 히 10:25 약 5:9 벧전 4:5 요일 2:18) 오순절 사건 이후로 마지막 때는 이미 시작외었으므로, 재림은 임박했다 (살전 5:1~3) 재림의 정확한 때는 하나님밖에 모르시고, 예수와 천사들도 모른다 (마 24"36)    나. 재림의 형식 인격적 재림: 재림은 기독교의 원리가 사회를 지배함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인격적으로 임하신다(행 1:11, 3:20,~21 마 24:44 고전 15:23 빌 3:20 골 3:4 살전 2:19, 3:13, 4:15~17 딤후 4:8 딛 2:13 히 9:28) 형태적 재림 : ..

기독교교리 2024.06.12

그리스도의 재림 전의 큰 사건은 무엇인가?

그리스도의 재림 전의 큰 사건은 무엇인가? (47) 그리스도의 재림 1) 재림 전의 큰 사건 가. 이방인들을 부르심 그리스도가 재림하시기 전에 먼저 복음이 모든 민족들에게 전파된다 (마 24:14 막 13:10 롬 11:25) 나. 이스라엘의 회심 이스라엘 민족이 끝날에는 주께로 돌아올 것이다 (롬 11:11~32) 다. 적 그리스도의 출현 적 그리스도가 나타나서 그리스도를 대적하다가 마침내 죽음을 당할 것이다 (살후 2:3~4) 라. 큰 배도와 재난 환난이 극심하므로 배도하는 일들이 있고, 큰 재난이 닥칠것이다 (마 24:12 딤후 1:1~7, 4:3~4 살후 2:3) 마. 표적과 기사 다음과 같은 표적과 기사들이 재림의 징조로서 나타날 것이다 (마 24:29~30 막 13:24~25 눅 21:25~2..

기독교교리 2024.06.10

중간 상태란 무엇인가? (중간 상태의 뜻과 의미)

중간 상태란 무엇인가? (중간 상태의 뜻과 의미) 2) 중간 상태 가. 중간 상태의 의의 중간 상태의 교리란 개인의 죽음과 일반적 부활과의 중간기에 인간이 어떠한 상태에 놓여 있는가에 관한 교리다 나.중간 상태에 관한 개신교의 교리 사람이 죽어서 들어간다는 '음부'는 장소적 개념이라기보다는 사후의 상태나 정상을 표현하는 말이다 (욥 14:13~14, 17:13~14 시 89:48 호 13:14 고전 15:55 계 1:18)신약시대의 신자는 사후에 즉시 '낙원'에 가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와 영적 교통을 즐긴다 (눅 16:19~31,23:43 행 7:59 고후 5:8 빌 1:23 계 6:9, 7:9 20:4)구약시대의 성도들은 음부에 있다가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옥에서 해방되어 낙원에 들어갔다 (벧전..

기독교교리 2024.06.05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음의 뜻과 의미)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음의 뜻과 의미)(46) 개인적 종말1) 육체의 죽음가. 육체적 죽음의 성질육체의 죽음이란 '신체와 영혼의 분리로 말미암아 육체적 생명의 종결'이다 (약 2:26 전 12:7 마 10:28 눅 12:4)그것은 결코 존재 자체의 멸절이 아니다나. 죄와 죽음과의 관계성경에는 '죽음은 죄의 결과요, 죄에 대한 형벌'이라고 언급되어 있다 (창 2:17, 3:19 롬 5:12, 6:23 고전 15:21 약 1:15)다. 신자에게 있어서 죽음의 의미신자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사망을 이겼다 (딤후 1:10 롬 5:17, 8:1~2 고전 15:22, 55~57)그러므로 신자에게 있어서 죽음으리나 더 이상 죄에 대한 형벌이 아니라, 영광스러운 구원의 완성을 위한 성화의 마지막 과정이다

기독교교리 2024.06.04

성찬이란 무엇인가? (성찬의 뜻과 의미)

성찬이란 무엇인가? (성찬의 뜻과 의미)(45) 성찬1) 성찬의 성경적 근거마 26:26~29 고전 11:23~252) 성찬과 주의 임재육체적 임재 : 그리스도가 육체적으로 임재하여 떡은 그리스도의 살이 되고, 포도주는 그리스도의 피가 된다(카톨릭 교리)장소적 임재 : 그리스도가 떡과 포도주 속에 장소적으로 공재(共在)한다영적 임재 : 성령이 임재하여 그리스도의 살과 피의 효과를 적용시킨다 (칼빈의 교리)기념 : 성찬의 떡과 포도주는 다만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기념하는 것이다 (쯔빙글리의 교리)3) 성찬의 참여자성찬에 참여하는 자는 자신을 살핀 후에 참여하도록 권고받고 있으므로 (고전 11:28~32), 원칙적으로는 분별능력이 결여되어 있는 어린아이들은 성찬에 참여하는 것이 합당치 않다

기독교교리 2024.05.23

세례란무엇인가? (세례의 뜻과 의미)

세례란무엇인가? (세례의 뜻과 의미) (44) 세례 1) 세례의 양식 침례 : 롬 6:3~4에 의하여, 침례는 예수 그리스도와 합하여 죽음과 부활함을 상징한다헬라어 "밥티조'의 일차적인 의미는 '담근다'는 뜻이다성경에서 '물에 들어가고 물에서 나온다'는 표현은 침례를 나타낸다 (마 3:16 행 8:36) 세례 : 성령세례를 받은 자만이 물세례를 받을 참된 자격이 있는데 (행 10:47, 11:16),성령세례는 침수(浸水)의 형식이 아니라, '부어 주시는' 형식이었다 (행 2:1~4, 10:45)  2) 세례의 대상 첫째, 성인에게만 해당된다세례는 구원받은 자에게 베푸는 것이므로,복음의 내용을 이해할 만한 성인에게만 베푸는 것이  원칙적으로 타당하다 둘째, 유아에게도 해당된다신자 가정의 자녀는 구원의 언약..

기독교교리 2024.05.14

은혜의 시여자와 수단

은혜의 시여자와 수단 (43) 교회와 은혜 1) 은혜의 시여자 성령 2) 은혜의 수단 성령은 보통 말씀을 통하여 은혜를 베푸시며,말씀전파는 성령의 역사하심이 없이는 유효하지 못하다말씀은 율법과 복음을 두 가지로 나눈다 가. 율법 첫째, 율법은 모세로 말미암아 주신 것이다 (요 1:17)둘째, 죄를 깨닫게 하고 (롬 3:20) 범죄를 구성케 한다 (롬 4:15)셋째, 그리스도에게까지 (갈 3:24, '율법이 우리를 그리스도에게 인도하는 몽학선생'.그러나 원문에는 '인도한다'는 단어가 없고,과거형으로서 '율법은 그리스도에게까지 몽학선생이었다'로 나타나 있다넷째, 율법으로는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없다 (갈 2:16) 나. 복음 복음은 죄인들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에게로 와서 믿고 회개하도록 권고하며진정으로 회..

기독교교리 2024.05.02

은혜의 시여자와 수단

은혜의 시여자와 수단 (43) 교회와 은혜 1) 은혜의 시여자 성령 2) 은혜의 수단 성령은 보통 말씀을 통하여 은혜를 베푸시며,말씀전파는 성령의 역사하심이 없이는 유효하지 못하다말씀은 율법과 복음을 두 가지로 나눈다 가. 율법 첫째, 율법은 모세로 말미암아 주신 것이다 (요 1:17)둘째, 죄를 깨닫게 하고 (롬 3:20) 범죄를 구성케 한다 (롬 4:15)셋째, 그리스도에게까지 (갈 3:24, '율법이 우리를 그리스도에게 인도하는 몽학선생'.그러나 원문에는 '인도한다'는 단어가 없고,과거형으로서 '율법은 그리스도에게까지 몽학선생이었다'로 나타나 있다넷째, 율법으로는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없다 (갈 2:16) 나. 복음 복음은 죄인들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에게로 와서 믿고 회개하도록 권고하며진정으로 회..

기독교교리 2024.05.02